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오이 표면 오돌토돌에 묻은 하얀 가루 도대체 뭐죠?

by note3385 2025. 7. 28.
반응형

 

 

가시오이 표면에 있는 하얀 가루의 대한 오해

1. 하얀 가루는 농약이 묻어 있는 것이다.

 

2. 하얀 가루가 많으면 신선하지 않다.

 

3. 하얀 가루 안에 벌레가 있다.

 

저도 예전에 이런 말도 안 되는 오해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오이의 가시나 표면에 묻어 있는 하얀 가루의 정체는 '블룸(Bloom)' 또는 '과분(果粉)'이라고 불리는 자연 발생 물질입니다.

 

오이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천연 왁스 성분이며,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으니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합니다.

 

 

블룸(Bloom)'의 역할

1. 블룸은 오이의 수분이 날아가는 것을 막아 신선도를 유지해 줍니다.

 

2. 외부의 병균이나 해충이 오이 조직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3. 스스로 항균 작용을 하여 오이가 쉽게 무르거나 썩는 것을 방지합니다.

 

농약이나 곰팡이와는 다른점

1. 현재 유통되는 대부분의 오이는 안전 기준에 따라 재배 및 세척 과정을 거칩니다. 또한, 블룸은 오이 표면 전체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는 반면, 농약이 불규칙한 얼룩으로 남는 경우는 드뭅니다.

 

2. 흰 가루병은 곰팡이성 질병으로, 주로 오이의 잎과 줄기에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발생합니다. 열매보다는 잎에서 먼저 관찰되며, 병이 심해지면 식물 전체가 시들게 됩니다. 

 

728x90

 

 

관계 기관 자료

1. 농촌진흥청: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농업 연구 및 지도 기관으로, 작물의 생리 및 재배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오이의 과분은 오이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생성하는 자연적인 물질로 설명합니다.

2.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 지역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을 보급하고 교육하는 기관으로, 오이를 포함한 다양한 작물에 대한 정보를 다룹니다. 이곳에서도 오이의 블룸은 신선도의 지표 중 하나로 간주합니다.

3. 대학교 농과대학 연구 자료: 식물 생리학을 연구하는 학계에서도 과일이나 채소 표면의 왁스층(블룸)은 식물의 자연적인 보호 메커니즘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블룸이 잘 형성된 오이는 오히려 신선하고 건강하게 자랐다는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오이의 하얀 가루가 과분인 줄 몰랐을 때는 찝찝했었는데 알고 나서는 오히려 신선하다는 걸 느끼게 되었어요.

 

여름철 오이 많이 먹게 되는데요. 이제  깨끗하게 씻어서 안심하고 섭취하시면 됩니다.

반응형